맨위로가기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3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예선에서 40개 팀이 10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고, 최종 예선에서는 10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각 조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UEFA-AFC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승리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플레이오프에서 이란이 아랍에미리트를 꺾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아일랜드에 패하여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진출팀을 가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1차 예선과 최종 예선을 거쳐 카메룬, 나이지리아, 세네갈, 튀니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도록 진행되었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2002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연도2002년
기간2000년 11월 24일 - 2001년 11월 15일
참가 팀 수39개국
참가 연맹 수1개
경기 수153경기
총 득점587골
총 관중1,111,044명
최다 득점자하니 알-다비트(오만) (11골)
야쿠브 주마 알-무카이니(오만) (11골)
탈랄 알-메샬(사우디아라비아) (11골)
사이드 바야지드(시리아) (11골)
이전 대회1998년
다음 대회2006년

2. 진행 방식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1차 예선''': 40개 팀이 4개 팀씩 10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2조는 1라운드 풀 리그전으로 진행되었다.
  • 조 내 경기 방식은 집중 개최 방식, 홈 앤드 어웨이 방식, 더블 센트럴 방식 등 통일되지 않았다.
  • '''최종 예선''':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5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고, 각 조 2위 팀은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최종 예선 각 조 2위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승리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대륙간 플레이오프''':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진출 팀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팀이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

3. 1차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은 2000년 1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진행되었다. 1차 예선에는 총 40개국이 참가하여 10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1조에서는 오만이, 2조에서는 이란이 각각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이란은 과의 경기에서 19-0으로 승리하여 FIFA 월드컵 예선 역사상 최대 점수 차 승리 기록을 세웠으나,[1] 이 기록은 다음 해 오스트레일리아 31-0 아메리카 사모아 경기로 경신되었다.

3조, 4조, 5조는 각각 홍콩카타르, 싱가포르쿠웨이트, 레바논태국에서 더블 센트럴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카타르, 바레인, 태국이 각각 조 1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6조는 당초 네팔 카트만두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네팔의 개최 포기로 바그다드알마티에서 더블 센트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7조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요르단 암만에서 더블 센트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우즈베키스탄이 조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8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9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어 중국이, 10조는 사우디아라비아 담맘에서 중앙 집중 방식으로 실시되어 사우디아라비아가 각각 조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3. 1. 1조

순위승점경기
1오만166510333+30
2시리아136411406+34
3라오스46114340-37
4필리핀16015229-27



 width="30"|width="30"|width="30"|width="30"|
오만2-012-07-0
시리아3-311-012-0
라오스0-70-92-0
필리핀0-21-51-1


  •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단, 오만 또는 시리아와 라오스 또는 필리핀 간의 경기는 모두 오만 또는 시리아에서 실시되었다.
  • 오만은 5승 1무, 승점 16점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시리아는 4승 1무 1패, 승점 13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3. 2. 2조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이란6220021021
타지키스탄3210116214
02002035-35


  • 이란은 타브리즈에서 열린 2경기에서 모두 승리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이 조만 1차전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타지키스탄은 1승 1패로 2위를 기록하였다.
  • 은 2패를 기록하였다.
  • 전송은 대전 실시 전에 기권하였다.
  • 이란 대 괌 경기는 19 - 0으로 이란이 승리하여 FIFA 월드컵 예선 역사상 최대 점수 차 승리를 기록했다.[1] 그러나 다음 해 오스트레일리아 31-0 아메리카 사모아 경기로 이 기록은 경신되었다.

경기 결과

  • 2000년 11월 24일영어: 이란 19 - 0 (야데가레 에맘 스타디움)
  • 2000년 11월 26일영어: 타지키스탄 16 - 0 (야데가레 에맘 스타디움)
  • 2000년 11월 28일영어: 이란 2 - 0 타지키스탄 (야데가레 에맘 스타디움)

3. 3. 3조

3조는 홍콩카타르 도하에서 더블 센트럴 방식으로 경기가 치러졌다. 경기 결과 카타르가 조 1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고, 팔레스타인이 2위를 기록하였다.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카타르16651014311
팔레스타인7621389-1
말레이시아76213811-3
홍콩46114310-7


3. 4. 4조

4조는 싱가포르쿠웨이트에서 경기를 치렀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바레인156501945
쿠웨이트136411936
키르기스스탄4611439-6
싱가포르2602438-5



바레인이 조 1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쿠웨이트는 2위를 기록했다.

3. 5. 5조

5조 경기는 레바논베이루트태국방콕에서 더블 센트럴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경기 결과 태국이 1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고, 레바논이 2위를 기록했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태국16651020515
레바논13641126521
스리랑카46114820-12
파키스탄16015529-24


3. 6. 6조

당초에는 네팔 카트만두에서 6경기(1순환 풀 리그전)만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네팔이 개최를 포기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알마티에서 6경기"라는 안을 제시했지만, 이라크가 반대하여 바그다드와 알마티에서 6경기씩(2순환 풀 리그전)의 더블 중앙 방식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3. 7. 7조

7조 경기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요르단 암만에서 더블 센트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우즈베키스탄14642020515
투르크메니스탄1264021275
요르단862221275
중화 타이베이06006025-25


3. 8. 8조

순위승점경기
1아랍에미리트12640221516
2예멘1163211486
3인도1163211156
4브루나이06006028-28



아랍에미리트는 4승 2패, 승점 12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예멘은 3승 2무 1패, 승점 11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3. 9. 9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중국이 조 1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인도네시아는 2위를 기록했다.

3. 10. 10조

사우디아라비아 담맘에서 중앙 집중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아라비아18660030030
베트남106312990
방글라데시56123515-10
몽골16015222-20



사우디아라비아가 6전 전승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베트남은 3승 1무 2패로 2위를 기록했다.

4. 최종 예선

최종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A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200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고, 이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B조에서는 중국이 본선에 진출했고, 아랍에미리트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4. 1. A조

(사우디아라비아)가 5승 2무 1패, 승점 17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이란)은 4승 3무 1패, 승점 15점으로 조 2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2]

 width="30"|width="30"|width="30"|width="30"|width="30"|
style="text-align:right;"|2-21-11-04-1
style="text-align:right;"|2-00-02-11-0
style="text-align:right;"|0-43-12-01-1
style="text-align:right;"|1-21-21-04-0
style="text-align:right;"|1-30-01-11-1



날짜경기결과구장비고
2001년 8월 17일vs4 - 0바그다드
2001년 8월 17일vs1 - 1리야드
2001년 8월 23일vs2 - 0마나마
2001년 8월 24일vs2 - 0테헤란
2001년 8월 31일vs1 - 0마나마 (바레인)[2]
2001년 9월 1일vs0 - 0방콕
2001년 9월 6일vs1 - 1마나마
2001년 9월 7일vs1 - 2바그다드
2001년 9월 14일vs0 - 0테헤란
2001년 9월 15일vs1 - 3방콕
2001년 9월 21일vs0 - 4마나마
2001년 9월 22일vs1 - 1방콕
2001년 9월 28일vs1 - 0바그다드
2001년 9월 28일vs2 - 2지다
2001년 10월 5일vs1 - 0테헤란
2001년 10월 5일vs1 - 2암만 (요르단)[2]
2001년 10월 12일vs2 - 1테헤란
2001년 10월 16일vs1 - 1방콕[3]
2001년 10월 21일vs4 - 1리야드
2001년 10월 21일vs3 - 1마나마


4. 2. B조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이 6승 1무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아랍에미리트는 3승 2무 3패로 조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은 3승 1무 4패, 카타르는 2승 3무 3패, 오만은 1승 3무 4패를 기록했다.

국가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중국19861113211
아랍에미리트1183231011-1
우즈베키스탄1083141314-1
카타르9823310100
오만68134716-9


5. 플레이오프

2001년 10월,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종 라운드에서 각 조 2위를 차지한 이란아랍에미리트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이란4 - 0아랍에미리트1 - 03 - 0



1차전은 2001년 10월 25일 이란 테헤란에서 열렸으며 이란이 1-0으로 승리했다. 2차전은 2001년 10월 31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렸으며 이란이 3-0으로 승리했다. 합계 4-0으로 이란이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지난 AFC 플레이오프는 중립 지역에서 개최되었지만, 개최지 결정 문제와 개최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번 플레이오프부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6. 대륙간 플레이오프

2001년 11월, 이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아일랜드와 경기를 치렀다. 11월 10일 더블린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아일랜드가 2-0으로 승리하였다. 11월 15일 테헤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이란이 1-0으로 승리하였다. 그러나 합계 점수에서 2-1로 아일랜드가 앞서면서,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권은 아일랜드에게 돌아갔다.

7. 본선 진출국

진출 자격진출 날짜FIFA 월드컵 이전 출전 횟수
일본개최국1996년 5월 31일1 (1998)
대한민국개최국1996년 5월 31일5 (1954, 1986, 1990, 1994, 1998)
사우디아라비아2차 예선 A조 우승팀2001년 10월 21일2 (1994, 1998)
중국2차 예선 B조 우승팀2001년 10월 7일0 (첫 출전)


참조

[1] 웹사이트 Guam going home http://news.bbc.co.u[...] 2000-11-26
[2] 문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간의 경기는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두 경기 모두 중립 지대에서 진행되었다.
[3] 문서 태국과 바레인의 경기는 2001년 10월 13일에 열렸지만 전반 20분에 경기장 변전실에서 일어난 화재로 인한 정전으로 중단되었다. 경기가 중단되던 당시에는 바레인이 1 – 0으로 앞서고 있었다. 이에 따라 10월 16일에 경기가 다시 열리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